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wordpress] 워드프레스 설치 과정 - 리눅스(ubuntu + nginx + MariaDB) 서버에 과금없는 워드프레스(LEMP) 직접 설치 마지막

develop/wordpress

by devcon 2023. 6. 29. 15:13

본문
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워드프레스를 설치하기까지 

2023.05.30 - [develop/server] - [Nginx] 리눅스 ubuntu 서버에 nginx 설치 및 설정 ( +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호출 연동)

2023.06.28 - [develop/database] - [DB] wordpress(워드프레스) 설치를 위한 준비단계 - 리눅스(ubuntu) 서버에 MariaDB(또는 MySQL) 설치

2023.06.28 - [develop/server] - [PHP] wordpress(워드프레스) 설치를 위한 준비단계 - 리눅스(ubuntu+nginx기반) 서버에 php 8.0 설치

MariaDB 설치와 php 설치를 마무리했고 

이제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주자

 

리눅스 서버에 ssh 접속 후

압축파일을 다운받기 위해 임시로 쓸 tmp 디렉토리로 이동

cd /tmp

wget https://wordpress.org/latest.tar.gz
wget https://wordpress.org/latest.zip


tar -xvzf latest.tar.gz
unzip latest.zip

/tmp 디렉토리에 

워드프레스 최신 버전 압축 파일을 다운 받아 압축을 풀어주자

 

/tmp 디렉토리에 wordpress 디렉토리와 파일들이 확인된다

 

sudo cp -a wordpress/. /var/www/html

 

 

워드프레스 파일들을 /var/www/html 디렉토리로 모두 복사해주자

참고로

/var/www/html 디렉토리는

Apache 웹 서버에서 정적인 웹 페이지 및 웹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저장하는 기본 디렉토리 경로이다

 

nginx의 경우에는 /usr/share/nginx/html 또는 /var/www/nginx-default 디렉토리를 루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

나는 conf파일을 별도 생성했고, 

아래이미지처럼 /etc/nginx/nginx.conf에서 include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파일로 

심볼릭링크를 생성해뒀기 때문에 /var/www/html 디렉토리를 바라보고 있다

 

워드프레스 파일을 모두 복사해줬다면 

mkdir /var/www/html/wp-content/uploads 

mkdir /var/www/html/wp-content/upgrade

mkdir /var/www/html/wp-content/temp

추가적으로 필요한 wordpress 관련 필요 디렉토리를 미리 생성해주자

필수는 아니지만 플러그인등 설치를 하는 경우 가끔 권한관련 에러가 발생한다하니 

내가 잘 모르는 내용은 다른 블로거분들의 글을 참고해서 수렴해두자

참고글 : https://itreport.tistory.com/640

 

3개의 디렉토리가 추가로 잘 생성 되었는지도 확인해두자

 

 

다음으로는 기본적으로 파일/디렉토리의 소유자가 ubuntu로 되어있는걸 변경해주자

sudo chown -R www-data:ubuntu /var/www/html

sudo find /var/www/html -type d -exec chmod g+s {} \;

sudo chmod -R 775 /var/www/html

 

기본적으로 소유자와 사용자그룹이 모두 ubuntu로 되어잇는데

/var/www/html 디렉토리와 그 하위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해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하자

소유권을 변경하면 웹 서버가 해당 디렉토리와 파일에 접근,수정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

 

추가로 설명하자면 

sudo chown -R www-data:ubuntu /var/www/html 명령문에 나오는 

www-data는 주로 Apache나 Nginx 웹서버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사용자 계정이고

ubuntu는 사용자 그룹이다

우리는 ubuntu:ubuntu  >>>  www-data:ubuntu 로 변경해준것이다

 

다음으로 해줄 

sudo find /var/www/html -type d -exec chmod g+s {} \;    명령어를 간단히 설명하면

  • sudo  - 관리자권한 실행 
  • find - 지정한 경로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를 검색
  • /var/www/html - 지정 경로   
  • -type d -디렉토리만 선택
  • -exec    - 검색한 각 디렉토리에 대해 chmod g+s {} \; 명령을 실행
  • chmod g+s  - 그룹 sticky 비트를 설정하는 옵션, 디렉토리에 대한 특별한 권한으로 그룹 멤버들이 디렉토리 내의 파일을 공유하고 수정가능
  • {}  - 검색한 디렉토리    
  • \;  - 명령문 실행의 끝을 의미

 

 

sudo chown -R www-data:www-data /var/www/html/wp-content/uploads

sudo chmod -R 755 /var/www/html/wp-content/uploads

ls -l /var/www/html/wp-content/

모두 변경해줬다면 

/var/www/html/wp-content/uploads 만 사용자그룹도 www-data로 변경해주자

 

그 다음 권한 수정을 해주자

 

여기에 있는 755는  디렉토리 권한으로,

소유자 - 읽기(R), 쓰기(W), 실행(X) 권한

그룹 - 읽기(R), 실행(X) 권한

기타 사용자 - 읽기(R), 실행(X) 권한 으로 설정해주는 것이다. 

 

두 명령어를 모두 실행해줬다면

디렉토리와 내부 모든 파일들이 웹 서버에서 쓰기 및 실행할 수 있도록 소유자와 권한이 설정되었고, 

워드프레스를 사용 할 때, 업로드한 파일에 접근하고 웹에서 정상적으로 표시 할 수 있도록 되었다

 

 

이제 ssh에서 작업은 마무리 되었고 

웹브라우저로 돌아와 리눅스서버ip나 연결한 도메인으로 접속해보자

 

사용할 기본 언어를 먼저 선택

 

wp-config.php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 

앞서 생성한  MariaDB 정보를  입력해줘야 한다

 

차례대로 정보를 넣어주고  제출

입력한 정보가 정확하다면 데이터베이스와 워드프레스가 연결된다

 

다음으로 워드프레스의 이름 및 사용자를 등록해주면 된다

 

로그인 버튼을 눌러주면 

로그인 화면이 나오고  방금 등록해준 사용자로 로그인하자

 

아래 화면이 나왔다면 워드프레스 설치에 성공한것이다 

 

 

 

큰 어려움 없이 설치했기를 바라며 

이제 워드프레스를 활성화 해봐야겠다

728x90
반응형

댓글 영역